All About Computer

#17. 애플리케이션 사용하기

Use applications.

컴퓨터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인 ‘정보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앱)**에 대해 설명합니다. 앱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사용자에게 배포되며, 사용자가 앱을 어떻게 설치하고 사용하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을 다룹니다.

  1. 애플리케이션(앱)의 역할:
    • 컴퓨터는 저장된 정보(파일)를 활용하여 새로운 정보(문서, 그림, 음악 등)를 생산합니다. 이 생산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애플리케이션(앱)**입니다.
    • 앱은 컴퓨터의 가장 강력하고 본질적인 기능인 정보 생산을 담당합니다.
  2. 앱의 생성과 배포:
    • 개발자는 운영체제(OS)와 API를 기반으로 앱을 만듭니다.
    • 개발 완료 후, 컴파일 과정을 통해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0과 1)**로 변환합니다.
    • 이 과정에서 앱을 실행하는 실행 파일(.exe 등)과 앱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파일(.dll, .config 등)이 생성됩니다. (macOS는 .app 아카이브 파일 형태)
    • 사용자 배포 시에는 이 파일들을 하나로 묶고 압축하며 보안(개발자 인증)을 강화한 설치 파일(Installation File) 형태로 만듭니다. (Windows: .msi, .exe / macOS: .dmg, .pkg)
    • 설치 파일은 직접 전달, 웹사이트 다운로드, 또는 **소프트웨어 배포 플랫폼(앱 스토어)**을 통해 배포됩니다.
  3. 소프트웨어 배포 플랫폼 (앱 스토어):
    • Microsoft Store, Mac App Store 등이 대표적입니다.
    • 플랫폼 운영 업체(MS, Apple 등)가 개발자를 등록/관리하고 앱을 검증(테스트, 정책 준수)하여 사용자가 비교적 안전하게 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OS와 긴밀하게 연동되어 앱의 설치, 업데이트, 제거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해주어 편리합니다.
  4. 앱 설치 및 실행:
    •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경로(폴더)에 앱 실행에 필요한 파일들이 저장(압축 해제)됩니다.
    • 사용자가 쉽게 앱을 실행할 수 있도록 시작 메뉴나 바탕화면에 **바로 가기(링크 파일)**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5. 파일과 연결 프로그램:
    • 하나의 파일이라도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른 앱으로 열 수 있습니다. (예: 사진 파일을 이미지 뷰어로 보거나, 이미지 편집기로 편집)
    • 운영체제는 파일의 확장자를 보고 어떤 앱으로 열어야 할지 판단합니다.
    • 사용자는 특정 확장자 파일을 열 때 기본적으로 사용할 **기본 애플리케이션(Default Application)**을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6. 파일 포맷과 앱의 관계:
    • 앱은 특정 파일 포맷(데이터 저장 방식)을 읽고(디코딩) 생성(인코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표준 파일 포맷(.mp3, .jpg 등): 여러 앱에서 호환되는 공개된 형식입니다. 범용적인 앱은 주로 표준 포맷을 사용합니다.
    • 자체 파일 포맷 (사유 포맷): 특정 앱 개발사가 독자적으로 만든 형식으로, 해당 앱에서만 지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독점적인 고급 기능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무료 뷰어: 유료 앱의 경우, 해당 앱으로 만든 파일을 읽을 수만 있는 무료 버전(뷰어)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예: Adobe Acrobat Reader – PDF 파일 보기).
  7. 운영체제 기본 제공 앱 (빌트인 앱):
    • OS 설치 시 기본적인 작업을 위해 미리 포함된 앱들입니다 (사진 뷰어, 동영상 플레이어, 계산기, 텍스트 편집기,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 기능이 부족하다고 느끼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더 강력한 기능의 유/무료 앱을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합니다.
  8. 실행 중인 앱 관리 (프로세스 관리):
    • 컴퓨터가 작동 중일 때는 OS 운영을 위한 서비스, 시작 프로그램, 사용자가 실행한 앱 등 수많은 프로그램(프로세스)이 동시에 실행되고 있습니다.
    • 운영체제는 이러한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과 각 프로세스가 컴퓨터 자원(CPU, 메모리 등)을 얼마나 사용하는지 보여주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Windows: 작업 관리자 / macOS: 활성 상태 보기)
  9. Windows 앱의 변천사 (UWP 앱):
    • 과거 마이크로소프트는 스마트폰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Windows 8에서 UI, API 등 시스템 전반을 크게 변경하며 통합 OS/앱 생태계를 구축하려 했습니다. (타일 형태의 새로운 UI, 새로운 형태의 앱 등장)
    • 하지만 급격한 변화는 사용자에게 큰 혼란을 주었고, 결국 Windows 10에서는 기존 데스크톱 환경과 새로운 앱 환경을 절충/통합하는 방식으로 선회했습니다. 이로 인해 Windows에는 **두 가지 스타일의 앱(기존 데스크톱 앱 vs 새로운 UWP 앱)**이 공존하게 되었습니다.
    • UWP(Universal Windows Platform) 앱: 터치스크린에 친화적이고 다양한 화면 크기에 자동으로 최적화되며, 데스크톱, 모바일, 태블릿, Xbox 등 모든 Windows 기반 기기에서 작동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새로운 형태의 앱입니다.
    • 현재는 UWP 앱 개발이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않아,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도 UWP 앱뿐만 아니라 기존 형태의 데스크톱 앱도 등록할 수 있도록 정책이 변경되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앱)은 컴퓨터를 활용하여 정보를 생산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앱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배포되며, 어떤 방식으로 설치하고 사용하는지, 그리고 파일 포맷이나 기본 앱 설정 등 관련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가가 자신에게 맞는 붓을 고르듯, 사용자도 다양한 앱 중에서 자신의 목적과 필요에 맞는 앱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Chapters:
0:00
Intro
00:24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01:04 실행 파일 (Excutable file)
01:35 설치 파일 (Setup file)
02:09 배포 경로/채널 (distribution channel)
02:22 소프트웨어 배급 플랫폼 (Software digital distribution platforms)
02:59 앱 설치 (Installation)
03:18 목적별 응용 프로그램
04:00 기본 애플리케이션 (Default application)
04:27 애플리케이션과 파일 (Apps and Files)
05:48 빌트인 애플리케이션 (Built-in Application)
06:22 작업 관리자, 활성 상태 보기 (Task Manager, Activity Monitor)
07:00 Windows의 대변화, Windows 8, Windows Store
09:06 Windows 10, UWP (Universal Windows Platform apps), Microsoft Store
10:45 마무리

next video

다음 영상에서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