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Computer

#16. 파일 다루기

Handling files.

컴퓨터 사용의 핵심인 **파일(File)**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다루는 방법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을 설명합니다.

  1. 파일의 중요성과 복습:
    • 컴퓨터의 네 가지 기능(정보 생산, 보관, 전달, 장치 사용) 중 ‘정보 보관’이 기본이며, 이는 파일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파일은 크게 데이터 파일(정보 저장)과 실행 파일(명령어 묶음)로 나뉩니다. 컴퓨터 작업은 결국 이 두 종류의 파일을 다루는 것입니다.
    •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파일은 계속 늘어나므로 효율적인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2. 파일 식별 및 분류:
    • 파일 이름: 파일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 이름을 붙입니다.
    • 확장자 (Filename Extension): 파일 이름 뒤에 점(.)으로 구분하여 붙이며, 파일의 종류(유형, 포맷)를 나타냅니다 (예: .txt, .bmp, .mp3, .exe).
    • 아이콘: 확장자별로 다른 아이콘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쉽게 파일 종류를 구분하도록 돕습니다.
    • 연결 프로그램: 확장자를 통해 운영체제는 해당 파일을 어떤 응용 프로그램(앱)으로 열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예: .txt는 텍스트 편집기, .mp3는 미디어 플레이어).
  3. 파일 정리 및 구조화:
    • 폴더/디렉토리 (Folder/Directory): 파일이 많아지면 찾고 관리하기 어려워집니다. 관련 있는 파일들을 그룹으로 묶어 정리하기 위한 ‘파일 보관함’입니다.
    • 계층 구조 (트리 구조): 폴더 안에 또 다른 폴더를 만들어 파일을 더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마치 나무가 가지를 치는 모습과 같아 트리 구조라고 합니다.
    • 루트 폴더 (Root Folder): 가장 최상위에 있는 폴더를 의미합니다.
  4. 파일 위치 식별 (경로):
    • 경로 (Path): 파일이 컴퓨터 저장 장치 내의 어느 폴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고유한 주소입니다.
    • 절대 경로 (Absolute Path): 루트 폴더부터 시작하여 해당 파일까지의 모든 폴더 이름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표시합니다 (예: C:\내문서\음악\K-Pop\Wave3.mp3). 절대 경로는 항상 유일합니다.
    • 상대 경로 (Relative Path): 현재 작업 중인 폴더를 기준으로 파일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주로 현재 폴더나 하위 폴더에 접근할 때 사용되어 경로 표시를 간결하게 할 수 있습니다.
  5. 바로 가기 (링크 파일):
    • 파일이나 폴더의 실제 위치는 그대로 두고, 해당 위치를 가리키는 연결 정보만 가진 가짜 파일입니다.
    • 복잡한 경로에 있는 파일을 바탕화면 등 접근하기 쉬운 곳에 두고 빠르게 실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Windows에서는 ‘바로 가기’, macOS에서는 ‘가상본(Alias)’이라고 부릅니다.
  6. 파일 관리 도구 (파일 탐색기/Finder):
    • 운영체제는 저장 장치 내의 파일과 폴더를 보고 관리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Windows는 파일 탐색기(File Explorer), macOS는 **파인더(Finder)**라고 부릅니다.
    • 기본 기능: 폴더/파일 찾기, 생성, 이동, 복사, 삭제, 이름 변경 등을 수행합니다.
    • 검색 기능: 파일 이름뿐 아니라 다양한 조건(수정한 날짜, 파일 종류 등)으로 파일을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7. 파일 보안 및 보호:
    • 파일 권한: 사용자 계정 또는 그룹별로 파일/폴더에 대한 접근(읽기, 쓰기, 실행 등) 권한을 정교하게 설정하여 보안을 유지합니다.
    • 파일 암호화/인증: 중요한 파일은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인증), 파일 내용 자체를 알아볼 수 없게 변환(암호화)하여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숨김 파일 (Hidden File): 사용자가 실수로 삭제하거나 변경하면 안 되는 중요한 시스템 파일 등을 보이지 않게 숨기는 기능입니다. 필요시 설정을 통해 보이게 할 수도 있습니다.
  8. 파일 묶기 및 압축:
    • 아카이브 파일 (Archive File): 여러 파일과 폴더를 하나의 파일로 묶는 기능입니다. 주로 백업이나 파일 전송 시 사용됩니다. (.tar 등)
    • 압축 파일 (Compressed File): 아카이브 과정에서 파일 크기를 줄이는 압축 기술을 함께 사용하는 파일입니다.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전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gz, .zip, .7z 등)
    • Windows에서는 편의상 아카이브와 압축이 합쳐진 의미로 ‘압축 파일’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합니다. (.zip이 대표적)
  9. 디스크 이미지 (Disk Image):
    • CD, DVD 같은 광학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전체의 내용을 그대로 복사하여 하나의 파일로 만든 것입니다.
    • 과거 소프트웨어 배포 시 물리적인 디스크 대신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예: Windows 설치용 .iso 파일)
    • 마운트(Mount):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실제 디스크처럼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과정입니다.
    • 언마운트(Unmount): 연결된 디스크 이미지 파일의 연결을 끊는 과정입니다.
    • 일부 압축 프로그램은 마운트 과정 없이 디스크 이미지 파일의 내용을 바로 보여주기도 합니다.
  10. 설정 파일 (Configuration File):
    • 운영체제나 응용 프로그램의 작동 방식을 사용자가 변경했을 때, 그 설정값을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 컴퓨터를 껐다 켜도 설정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 텍스트 파일 형태일 수도 있고, Windows의 경우 **레지스트리(Registry)**라는 통합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도 합니다.
    • 잘못 수정하면 시스템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1. 시스템 복원 및 파일 복구:
    • 운영체제는 시스템 설정 파일 등을 주기적으로 백업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시스템 복원(System Restore) 기능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가 생성한 파일에 대해서도 주기적으로 백업하고 특정 시점으로 복구하는 파일 복구(File Recovery) 기능을 제공합니다. (Windows: 파일 히스토리, macOS: 타임머신)
  12. 백업의 중요성: 파일은 현대 사회의 중요한 자산이므로, 중요한 파일은 항상 별도의 저장 장치에 백업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컴퓨터 사용의 기본은 파일을 다루는 것이며, 파일 이름/확장자, 폴더 구조, 경로, 링크 파일, 파일 관리 도구, 파일 권한, 보안, 압축, 디스크 이미지, 설정 파일, 복원/복구 기능 등 다양한 개념을 이해하면 파일을 더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Chapters:
0:00
Intro
00:29 파일 (file)
01:05 확장자 (filename extension)
01:57 폴더, 디렉토리 (folder, directory)
02:52 파일 경로, 절대/상대 경로 (file path, absolute/relative path)
03:44 링크 파일, 바로가기, 가상본 (link, shortcut, alias)
04:23 파일 탐색기, 파인더 (file Explorer, finder)
05:34 파일 보안/권한 (file permissions)
05:45 파일 보호, 암호화 (file encryption)
06:27 숨김 파일 (hidden file)
06:43 아카이브 파일, 압축 파일 (archive file, compressed file)
07:33 디스크 이미지 (disk image)
08:44 설정 파일, 레지스트리 (configuration file, registry)
10:00 시스템 복원 (system restore)
10:16 데이터 복구 (data recovery)
10:38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