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Computer

#14. 사용자 계정

User Accounts.

컴퓨터 부팅 후 마주하게 되는 로그인 화면의 ‘사용자 계정(User Account)’ 개념과 그 필요성, 종류, 관련 기능들에 대해 설명합니다.

  1. 사용자 계정이란?
    • 컴퓨터를 사용하려는 사람이 누구인지 **식별(Identify)**하고 **검증(Authenticate)**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계정(計定)’은 사용자를 헤아려 정한다는 의미)
    • 주로 **사용자 이름(ID)**으로 식별하고, **비밀번호(Password)**로 검증합니다.
  2. 사용자 계정의 필요성:
    • 공유 문제 해결: 컴퓨터는 유용하지만, 가정 등에서 여러 사람이 한 대의 컴퓨터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 수보다 컴퓨터 수가 적음).
      • 문제점 1: 다른 사람이 내 파일이나 설정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 문제점 2: 사용자마다 다른 취향(배경화면, 아이콘 등)과 작업 환경을 원하는데, 공유 시 충돌이 발생하고 불편합니다 (예: 다른 사람이 내게 필요한 앱 삭제).
    • 개인화된 환경 제공: 사용자 계정을 통해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파일, 배경화면, 아이콘 배치, 프로그램 설정 등을 분리하여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보안 및 프라이버시: 내 데이터와 설정을 다른 사용자로부터 보호합니다. 손님용 계정(Guest) 등을 통해 임시 사용자에게는 제한된 접근만 허용할 수 있습니다.
  3. 사용자 계정의 종류:
    • 로컬 사용자 계정 (Local User Account):
      • 한 대의 컴퓨터 내에서만 사용되는 계정입니다. 계정 정보와 설정이 해당 컴퓨터에만 저장됩니다.
      •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도메인 사용자 계정 (Domain User Account):
      • 주로 회사나 조직에서 사용됩니다.
      • **중앙 서버(도메인 컨트롤러)**에서 모든 사용자 계정 정보와 개인 설정 정보(파일, 배경화면 등)를 통합 관리합니다.
      • 사용자는 도메인에 가입된 어떤 컴퓨터에서든 자신의 도메인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서버에서 개인 환경 설정을 불러와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디렉토리 서비스 (Directory Service): 도메인 사용자 계정뿐 아니라 도메인 내 컴퓨터, 프린터 등 모든 자원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예: 소프트웨어 일괄 배포, 보안 정책 설정 등) 관리 복잡성 때문에 주로 전산실이 있는 큰 회사에서 사용합니다.
    • 온라인 계정 연결 (Online Account Connection):
      • 최근 노트북, 태블릿 등 여러 기기를 사용하는 개인이 많아지면서 등장한 방식입니다.
      • 로컬 계정 대신 **웹사이트의 온라인 계정(예: Microsoft 계정, Apple ID)**을 사용하여 로그인합니다.
      • 개인 설정 정보(테마, 파일, 앱, 브라우저 설정 등)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됩니다.
      • 해당 온라인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모든 기기에서 동일한 최신 작업 환경을 동기화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icrosoft, Apple 등은 자사 온라인 계정을 통해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스토어, 클라우드 저장소, 협업 도구 등)를 유기적으로 연동하는 생태계를 제공합니다.
  4. 사용 권한 (Permission)과 그룹 (Group):
    •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권한을 주면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용 권한: 사용자 계정별로 컴퓨터의 특정 기능(파일 접근, 프로그램 설치, 시스템 설정 변경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다르게 부여하는 것입니다.
    • 그룹: 사용 권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비슷한 권한이 필요한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묶어 관리합니다. 그룹에 권한을 부여하면 해당 그룹의 모든 사용자가 그 권한을 갖게 됩니다.
    • 내장 그룹 (Built-in Group): 운영체제에는 미리 정의된 그룹들이 있습니다 (예: 관리자 그룹(Administrators), 표준 사용자 그룹(Users), 손님 그룹(Guests) 등).
  5. 관리자 계정과 보안:
    • 관리자 계정 (Administrator/root): 컴퓨터의 모든 기능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최고 권한 계정입니다. OS 설치 시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 보안 위험: 관리자 계정으로만 컴퓨터를 사용하면, 악성코드 감염이나 해킹 시 컴퓨터 전체가 장악될 위험이 매우 큽니다.
    • 권장 사항: 평소에는 제한된 권한을 가진 표준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하고, 프로그램 설치나 시스템 설정 변경 등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만 일시적으로 관리자 권한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6. 사용자 계정 컨트롤 (User Account Control, UAC):
    •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실행할 때, 사용자에게 정말로 실행할 것인지 다시 한번 확인하거나 관리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보안 기능입니다. (Windows 기준)
    • 사용자가 실수로 또는 악성코드에 의해 시스템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귀찮더라도 보안을 위해 끄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자 계정은 여러 사람이 컴퓨터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공유하고, 개인화된 환경을 사용하며, 다양한 기기에서 일관된 경험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로컬 계정, 도메인 계정, 온라인 계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보안을 위해 사용자별 권한 관리와 UAC 같은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hapters:
0:00
Intro
00:42 로컬 사용자 계정 (local user account)
02:34 도메인 사용자 계정 (domain user account)
03:25 도메인, 디렉토리 서비스 (domain, directory service)
04:46 온라인 계정 연결 (connect to online account)
06:40 사용 권한 (Permission)
07:27 사용자 그룹 (user group)
07:38 빌트인 그룹 (built-in group)
08:02 빌트인 사용자, 관리자 계정 (built-in user, administrator/root)
08:28 사용자 계정 컨트롤 (user account control)
09:54 가족 그룹 (family group)
10:24 마무리